장례식이 없는 장례와 결혼 서약이 없는 결혼, 스웨덴에서 관습이 통째로 바뀌고 있다
 <0>
Photo from Needpix.com (Creative Commons) 스웨덴의 트렌드 하나를 소개한다. 한국 문화에서 굉장히 이해하기 어렵고 받아들이기도 힘들다는 생각이지만, 생각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다. 글의 기고는 스웨덴... Read More
09.05.2019
Kräftskiva, 스웨덴의 가재 먹는날
 <0>
Photo by Patrik Svedberg / imagebank sweden se 북유럽의 여름 축제는 활발하다. 그동안 어떻게 참고 지냈나 싶을 정도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모두 밖으로 나온 것 같다. ... Read More
07.23.2019
북유럽의 Walpurgis Night, 발푸르기스의 밤, 새 봄을 맞는날
 <0>
스톡홀름 시내에서의 불놀이. 뒤로 스톡홀름 시청이 보인다. Photo by Ola Ericson / imagebank.sweden.se 5월 1일의 날짜는 전 세계적으로 노동절이 많다. 유럽의 대부분의 나라들이 5월 1일을... Read More
05.02.2019
부모 돈은 누구 것인가
 <0>
Photo by Photo by Tove Freiij / imagebank.sweden.se 글을 시작하기 이전에 이 글이 북유럽의 리빙에 들어갈 것인가 고민을 했다. 이야기는 한국의 문화를 말하지만, 북유럽과 또 다른... Read More
08.20.2018
아이슬란드 축구팀의 스토리, 기적은 없다
 <0>
Photo: 아이슬란드 축구팀과 관중의 바이킹 박수 기적을 믿는가? 난 기적을 믿지 않는다. 다만, 그 기적 속에 숨은 인간들의 엄청난 노력이었다는 것을 믿는다. 종교적 믿음으로 생각해... Read More
06.17.2018
결혼과 그에 따른 남녀의 자세에 관하여
 <0>
Photo by Miriam Preis / imagebank.sweden.se 남녀가 결혼을 생각할 때는 이제 어느 정도 성숙한 사회인이 되었다고 생각할 때이다. 사회인은 자신의 의지로서 스스로 삶을 살 수... Read More
08.29.2016
죽음을 추모하는 자세
 <0>
Photo by Tina Stafrén / imagebank.sweden.se 오늘 아침 일찍 부고를 받고 장례식장에 다녀왔다. 길지 않았던 한국 생활 중 참 많은 장례식에 참석했던 것 같다. 노환으로... Read More
06.17.2016
한해동안 인류를 위해 공헌한 사람들이 모이는 곳, 북유럽 그리고 노벨상
 <0>
Nobel Prize / www.nobelprize.org 10월이 되면 가을이 깊어가고 한 해가 저물어 간다는 마음과 함께 일 년 동안의 일들을 마감하고 다양한 시상식도 준비하기 시작한다. 한 해를 돌아보며... Read More
10.05.2015
8월의 북유럽은 신나는 록(Rock)과 함께
 <0>
Photo by Rodrigo Rivas Ruiz / imagebank.sweden.se 한여름을 시원하게 날려주는 청량감 있는 음악, Rock 록 뮤직… 무덥고 끈끈한 더위를 피해 시원하고 신선한 북유럽의 바닷바람을 만끽하는... Read More
08.11.2015
북유럽 8월의 축제 Crayfish Party (Kräftskiva)
 <0>
Photo by Cecilia Larsson / imagebank.sweden.se 우리나라 말로는 아마 “민물가재”라고 할 것 같다. 가재 모양이지만, 아주 작고 빨간 Crayfish에 북유럽 사람들은 8월이면 열광한다. 본격적인... Read More
07.13.2015
스웨덴 왕가의 새 가족, Sofia Hellqvist (소피아 헬크비스트)
 <1>
칼 필립 왕자와 소피아 헬크비스트 / Photo by Bengt Nyman, wikimedia 2015년 6월 13일, 토요일은 스웨덴의 왕실에 큰 경사가 있는 날이다. 현재 국왕인 칼 구스타프... Read More
06.13.2015
한국, 미국, 북유럽, 세계 모두가 마음의 사랑을 나누는 St. Valentine’s Day (밸런타인데이)
 <0>
연말연시의 들떴던 마음도 잔잔하게 가라앉는 2월이다. 북유럽에서는 해가 길어져 제법 오후 4시경까지 머물러주니 봄을 재촉하는 마음이 생기는 변화 정도가 전부이다. 그러던 지난주 큰아이가 하굣길에 이런저런... Read More
05.17.2015